발암물질로부터 해방될 안전한 생리대는 여성인권
김영민 기자
news@chemie.or.kr | 2017-05-16 09:24:17
여성환경연대, 국내 '생리대 전성분표시제' 요구 서명
28일 세계 월경의 날에 서명 모아 식약처와 기업 전달
[화학신문 김영민 기자]'안전한 생리대는 여성인권이다!'는 슬로건으로 생리대에서 감춰진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서명운동 참여자는 1504명이다. 당초 목표 서명자수의 2000명에 근접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는 생리대 안전성 보장이 왜 중요한가를 거듭 밝혔다.
여성 한 사람이 40여 년간 1만1000개 이상의 생리대를 사용한다.
그만큼 화학물질로부터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 최근 2017년 여성환경연대는 생리대 11종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다.
충격적인 사실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리대 11개 제품 모두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이 나왔고 발암성 물질도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
문제는 어린 학생에서 부터 중년 여성들까지 수많은 여성들이 도대체 어떤 제품을 써야 하는지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그동안 여성환경연대측에 전화문의가 쇄도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여성환경연대를 긴급 토론을 걸쳐 정한 국내 시판중인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생리대에 포함된 성분을 표기하는 전성분표시제가 실시되지 않는 이유는 생리대 생산과정에서 유해물질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환경연대는 만약 화장품처럼 투명하게 성분 정보가 공개된다면 '순면 커버', '부직포' 등을 넘어, 구체적으로 어떤 성분이 생리대에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고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여성환경연대는 실제로 미국의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WVE)'는 피앤지(P&G)와 클라크케이블사의 일부 생리대 제품에서 전성분표시를 이끌어낸 성과도 소개했다.
무엇보다 생리대를 비롯해 기저귀, 물티슈 등 위생용품 전반에 발암성, 돌연변이성, 생식독성 성분이 규제 강화다. 예를 들어 미국 식약청은 탐폰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말 것을 권고하지만 국내에는 관련 규제가 없다. 국내 생리대 규제는 약 20년 전 제정된 포름알데히드에서 멈춰 있다.
생리대 관련해 잔류농약, 유해한 중금속, 프탈레이트, 파라벤, 타르색소 등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강력한 함성이 멈추지 않고 있다.
여성환경연대는 ▲생리대 전성분표시제 요구 ▲생리대 유해물질 규제 요구 ▲5월 28일 세계 월경의 날에 서명을 모아 식약처와 기업에 전달을 계획했다.
한편 2017 서울환경영화제가 열리는 5월 19일과 23일 이틀간 이화여대 ECC 내 삼성홀 앞 다목적홀에서 '여성과 지구 건강을 위한 안전한 생리대 부스'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일회용 생리대 전성분표시제 서명 참여 호소 차원으로 다양한 생리컵, 면생리대 전시도 볼 수 있다.
이날 자원봉사자도 모집한다. 19(금), 23(화) 1시~5시 각각 2명으로 1365자원봉사포털을 통해 자원봉사 시간(4시간)을 인정받으실 수 있다.
[ⓒ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