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중소기업 '월드클래스 300' 기업으로 키운다

윤동혁

news@chemie.or.kr | 2017-01-05 15:34:22

중기청, 2017년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통합 공고
글로벌 성장단계, 글로벌 도약단계 등 2개 사업 추진
1차 선정 2월 23일까지 마감 3∼4월중 4단계 심층평가

[화학신문 윤동혁 기자]중소기업청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성장의지와 잠재력을 갖춘 중소 중견기업을 선정해 R&D 등 패키지 지원을 통해 세계적 전문기업으로 육성하는 2017년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시행계획'을 통합 공고했다.


이번에 공고될 사업은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 및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사업(글로벌 성장단계)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글로벌 도약단계) 등 2개 사업이다.


2017년부터는 글로벌 강소기업과 월드클래스 300 사업간 유기적 연계를 통해 우수 중소 중견기업이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사다리 구축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혁신역량과 성장성을 갖춘 후보기업군 풀을 구성하고 성장전략컨설팅 등을 통해 최적 기업을 '월드클래스 300' 기업 등으로 발굴 선정한다.


중기청이 밝힌 글로벌 강소기업 후보군 기준을 보면, 연매출 50억∼1000억, 수출 100만 달러 이상, R&D 투자비율 1% 이상인 중소기업으로 약 4600여개사에 달한다.

월드클래스 300 후보군은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393개사 + 수출 비중 10%, R&D투자비율 1% 이상인 800여개 중견기업으로 약 800여개사다.


글로벌 혁신역량을 갖춘 중소 중견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을 선도할 수 있도록 예산과 육성기업 수도 대폭 확대된다.


2017년도 글로벌 성장단계 사업인 월드클래스 300 기업 선정은 1차, 2차로 나눠 총 70여 개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1차 선정은 2월 23일(목)까지 신청서류 접수를 마감하고 3∼4월중 4단계 심층평가를 통해 35개사 내외를 선정한다.


이어서 2차 선정은 공고 및 선정을 5월∼8월사이에 진행되고, 35개사 내외로 간추려 진다.

신청자격은 2015년 결산 재무제표 또는 2016년 추정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이 400억원∼1조원의 조건을 충족하는 중소 중견기업으로 수출비중과 R&D 투자비율 등 혁신성을 갖추거나 수출 실적(2000만달러~1억달러)을 쌓아야 한다.


2017년부터 수출 잠재력이 높은 혁신형 중소 중견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혁신형 기업 트랙' 신설했다.
선정기업은 미래전략 및 원천기술개발을 위해 최대 연간 15억원(2~5년간) 이내의 R&D와 연간 7억5000만원(최대 5년) 이내의 해외마케팅 전용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전문분야별(지식재산권, 해외수주, 국제조세 등) 맞춤형 컨설팅 지원을 포함하여 16개 기관, 20개 연계시책을 활용할 수 있다.


올해부터 월드클래스 300기업은 기술, 해외마케팅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성장관리 멘토단'을 통해 체계적인 성장관리를 추진한다.


2017년 선정기업부터 지정기간을 5년으로 단축하고 5년차에 성장전략 달성도 및 이행실적을 평가해 2년 단위로 지정을 연장하는 등 성과목표관리제를 도입 시행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 유망기업을 월드클래스 300기업으로 육성하는 글로벌 강소기업은 120개 내외를 선정한다.


신청대상은 ‘15년 결산 재무제표 또는 ’16년 추정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이 100억원∼1,000억원의 조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으로 글로벌 진출 의지와 혁신역량을 갖춘 중소기업이다.


신청기업은 해당 광역지자체의 지역별 사업공고를 참고해 전산 등록 후 신청서를 지방중소기업청 수출지원센터로 제출하면 된다. 지자체 공고 → 전산등록(www.exportcenter.go.kr) → 신청서 제출(지방중기청)


선정요건은 매출액 100억원(시스템 SW 개발공급업 25억원)~1000억원/ 직전년도 매출액 대비 수출비중 10% 이상/ 3년 평균 매출액 대비R&D 투자비율 1% 이상 (또는 5년 평균 매출액 증가율 8% 이상) 이다.


2017년부터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업계획서 내용을 기술개발과 수출 항목 위주로 재구성하고 분량을 대폭 축소했다.


글로벌 강소기업은 4년간 지정돼 기술개발, 해외마케팅, IP전략수립 등을 집중 지원받게 된다. R&D 과제는 최대 2년간 6억원(연간 3억원) 이내에서 지원하고 해외마케팅 프로그램은 4년간 2억원(연간 1억원)이내에서 사업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17개 광역지자체는 지역자율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맞춤형으로 선정기업을 육성한다.


2017년 주요 개편 사항은 과거 글로벌 강소기업에 참여했던 졸업 기업의 재참여를 허용하고 지정기간을 연장(3년→4년)한다. 전문가가 성장전략을 코칭하는 성장관리 멘토단과 성과목표를 설정 관리하는 성과목표관리제를 월드클래스 300과 같이 운영한다.


성과가 우수한 글로벌 강소기업이 월드클래스 300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월드클래스 300 신규 선정기업의 30%(2016년 10%)는 글로벌 강소기업에서 선정하고 연중 성장전략컨설팅을 실시한다.


아울러 산업부와 중기청은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역 거점별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자세한 사항은 중기청 및 산업부 홈페이지 2017년도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통합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월드클래스 300 전용 홈페이지(www.worldclass300.or.kr)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