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평형수설비 시장 80조대에서 40조원대로 추락

김영민 기자

news@chemie.or.kr | 2016-11-21 15:44:35

40조원 규모 선박평형수 시장 선점, 정부지원 확대
연구개발 늘리고 해운사 처리설비 구매 금융 지원 밝혀
조선업계 신시장, 유해해양생물 차단 목적 2017년 발효
해수부, 세계시장서 국내 기술 지위위해 정책 지원 강화

[화학신문 김영민 기자]불과 3~4년 전까지만 해도, 조선해운업계는 선박균형을 맞추는 핵심기술이 들어간 선박평형수 시장 규모를 80조원 대라며 시장을 높게 평가했다.

2016년 들어 조선해운업계에 파산 등 장기침체로 인해 연이어 저상장으로 돌아서면서 선박평형수처리설비 시장도 휘청거리고 있다. 투자대비 이익을 내는게 주춤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3년 당시만 해도 정부는 80조원의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추진 계획을 마련 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들이 급등세라고 호들갑을 떨었다.

증권가에서 이와 맞물려 나도너도 국내외 관련기술을 보유한 회사를 주목하라며 주식띄우기에 열을 올렸다.

 
조선해양 평형수처리 기술을 가진 엔케이는 3년 전에 평균 3900원대로 거래됐다. 11월 현재 4000원에 머물고 있다. 올 1월초 최고 8500원대 까지 치솟았다.

이엠코리아도 8000원대에서 지금은 4700원도 곤두박질을 치고 있다.

선박용 원격측정시스템 생산업체인 한라IMS는 11월 현재 1만1000원대다.  한라는 2014년 독일 RWO사와 선박평형수 처리사업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비상장 회사로는 테크로스는 올 9월에 수에즈막스 탱커 2척용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수주하는 성과도 올렸다.

2008년 설립한 중소기업인 아쿠아이엔지 역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운전방법 특허 등록하는데 글로벌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KT 마린은 2001년 5월 설립 선박관리, 조선기자재 생산 등으로 성장을 기반으로 2010년 효율이 높고 경제적이며 안정성이 높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인 MARINOMATETM를 개발하기 시작, 2014년 6월에 IMO 최종승인을 획득했다. 선상시험을 거쳐 2016년 3월 정부 형식을 획득해 선박의 운항 안정성 및 환경보호를 최우선적인 목표로 하는 초일류 해양환경기업으로 성장사로 발돋움하기 위한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 선박시장에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이들 중소기업들의 어느 정도 성과를 낼지를 미지수다.

바로 대기업인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도 선박평형수처리 기술을 투자해 시장 공략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시장성이다. 조선해운 선사, 선주들이 더 이상 신규 발주를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선박 관련 녹색신기술을 도입을 당연하지만 현재로썬 그 어떤 답변을 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해양수산부 앞으로 5년간 지금보다 1000배 강화된 처리 기술개발(R&D)에 민관합동 마케팅, 국내 기술 국제표준화 등도 추진한다.

해수부는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세계시장 선점 지원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선박평형수는 선박 운항 시 평형을 유지해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배 밑바닥과 옆면에 부착된 탱크에 싣는 바닷물을 말한다. 이러한 선박평행수 배출 과정에서 콜레라, 물벼룩, 게, 독성 조류 등의 유해생물이 해양환경을 파괴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제해사기구(IMO) 자료에 따르면 생태계 보호를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협약'을 채택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운항 중인 6만8000여척 선박은 평형수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선박평형수 처리 기술은 독보적인 수준이다. IMO가 승인한 31개 기술 중 우리나라가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많은 11개 기술(36%)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세계 시장의 선박평형수 처리 설비 수주 건수는 1600척 중 우리나라가 871척을 수주, 54%를 선점하고 있다.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지정한 13종의 유해해양생물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가능해졌다. 선박평형수 등으로부터 유입되거나 기후변화, 해양오염 등으로 발생 우리나라 연안에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생물종을 조사하고,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이를 평가 유해생물로 신규 지정도 할 수 있게 됐다.

유해해양생물을 보면, 노무라입깃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 코클로디니움, 차토넬라, 셋방가시이끼벌레, 관막이끼벌레, 자주빛이끼벌레, 아므르불가사리, 별불가사리, 알렉산드륨, 디노파이시스, 슈도니쯔시아가 지정돼 있다.

해양수산부는  5년간 40조원 규모로 형성될 선박평형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정부가 핵심기술의 연구개발(R&D)과 해운사의 설비 구매 등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21일 이런 내용의 '선박평형수관리협약 발효에 대한 세계 시장 선점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처리장치 탑재를 의무화하는 내용으로, 내년 9월 8일 발효한다.


국내 선박평형수처리설비는 지난 6년간 3조6000억원 규모의 세계 시장 중 49%(1조7000억원)를 차지하고 1600여개의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그러나 향후 전 세계 해운·조선업 경기 불황과 중국 등 후발업체의 급성장 등으로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질 예정이어서 정부 차원에서 추가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해수부는 국내 처리설비의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핵심 장비를 국산화하기 위한 R&D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선박에 설치된 평형수처리장치가 고장 나 평형수 배출이 불가능한 경우 등 비상시에 쓰이는 차세대 이동형. 육상형 선박평형수 처리설비도 구축할 계획이다.

박광열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관리협약의 발효에 대비하고 선박평형수처리설비 산업을 국정과제의 일환인 해양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7년 발효 후 5년간 이 설비와 관련 현재 세계시장의 40% 가량을 선점하고 있는 우리 기술의 지위를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펴겠다."고 밝혔다.


해수부에 따르면, 해운사가 개발사 등과 함께 처리설비의 공동구매를 논의하는 민간상생협의체를 신설하고 선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2018년부터 시행한다.


해운사가 1조원 규모의 에코쉽펀드를 활용해 고가의 설비 설치비용을 지원받는 방안은 정책금융당국과 협의 중이다.


이밖에 해수부는 일본, 중국과 선박평형수 교환수역 지정 또는 처리설비 설치 면제를 위한 협의를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인접 국가 내 해저 생태계가 동일한 것으로 평가되면 그 구간을 운항하는 국적 선박은 처리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생태계가 다른 경우에는 교환수역을 지정해 처리설비가 없는 선박이 그곳에 한해 평형수를 버릴 수 있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선박평형수처리기술 경쟁력을 확대해 해운·조선업의 상생을 도모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기존에 확보한 시장선점 효과를 이어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선박 평형수 및 침전물의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은 30개국 이상 가입하고, 가입국 선복량이 세계선복량의 35% 이상이 되면 1년 후 발효하게 돼 있다.

2016년 9월8일 52개국 비준, 총선복량 35.1441%로 발효요건 충족가입된 상태다. 우리나라는 2009년12월10일 가입됐다.

협약 내용은 공해상 선박평형수 교환, 처리(선박내에서 수중생물 소독), 배출기준, 선박점검, 처리설비 설치 검사 등이다.

[ⓒ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