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부터 18년까지 신재생 3조7천억원 투자

최인배

news@chemie.or.kr | 2016-12-27 16:00:19

발전6사, 5천억원 규모 풍력 수소연료전지 발전 투자 MOU
민간 신재생 사업자-발전6사-금융권간 첫 번째 교류 마련
RPS 의무비율 상향, 2018년 5% 2019년 6% 2020년 7%

[화학신문 최인배 기자]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2월 27일(화) '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투자 포럼'에 참석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불확실성이 제거된 만큼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 금융 투자확대에 앞장서 주기를 당부했다.

이날 포럼에는 포스코에너지, GS EPS 등, 신한은행, 우리은행, SK증권 금융투자협회 회원사와 민간 신재생사업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민간사업자, 발전6사, 금융권이 참여한 가운데, 신규 신재생 프로젝트 및 금융상품을 공유하고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을 활성화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신재금융투자협회, 신재생에너지협회, 발전6사간 MOU를 체결해 안정적 투자 금융 조달 환경 조성에 노력하기로 했다. 


정부는 7월 '에너지신산업 종합대책', 11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대책' 에 대한 연이어 발표,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추진 중이며, 이번 행사도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열렸다.
 
이번 발표에서 밝힌 대책은 '에너지신산업 종합대책'으로 RPS 의무비율(%)을 상향조정했다.

2018년에 4.5→5.0, 2019년에는 5→6, 2020년까지 6→7%로 늘린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대책'은 장기 고정가격(SMP+REC) 계약제도를 도입하고, 특히 주민참여를 높이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활성화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입지조성에 따른 갈등해소를 위해 환경규제도 완화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환경규제 완화는 무분별한 산림을 훼손하고, 기존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또한 계통접속 애로해소하고 주택/학교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할 경우 다양한 인센티브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한전 발전 6개사는 후속 조치를 위해 ▲장기 고정가격 계약제 공청회 ▲ESS 활용 스마트홈 컨퍼런스 ▲학교 옥상태양광 현장 방문 ▲산단 입주기업 대상 ESS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를 기반으로 23일 한국에너지공단과 농협중앙회는 농촌태양광 설치에 따른 MOU 전격 체결했다.

이번 투자 MOU는 정부의 신재생 보급 확대정책에 힘입어, 한국동서발전과 영흥화력 풍력발전에 깊은 노하우를 축적해온 유니슨, 한화에너지, ㈜두산)이 개발한 총 5000억원 규모의 영광풍력(79.6MW), 대산수소연료전지(50MW) 사업의 성공적 자금조달을 위한 MOU가 체결됐다

영광풍력은 육상(45.1MW)+해상(34.5MW) 등 총 79.6MW 용량으로 년 155.5GWh(이용률 22.3%)의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육상 규모는 2.3MW × 17기 + 2.0MW × 3기, 해상풍력은 2.3MW × 15기가 세워진다.


대산 수소연료전지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큰 의미로 작용되고 있다. 한화토탈 대산공장 부생수소를 이용한 50MW급 연료전지발전사업으로, 주로 연료전지발전은 LNG를 개질해 사용했으나 부생수소를 이용한 국내 최초 발전사업으로서 의미가 있다.


금융권 투자사례를 보면, 국내 PF시장이 공기업, 대기업에만 우호적인 상황에서, 중소기업, 소규모 사업자들을 위한 '풍력발전 상생펀드', '소규모 태양광 펀드' 등이 소개됐다.

포럼에서 SK증권 이상득 이사는 "장기 고정가격 계약제도 도입 등 정부의 적극적 노력으로 신재생에너지 투자여건이 대폭 개선됐다."며 "SK는 현재 2조원 규모의 신재생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 자문 주선을 진행 중으로 앞으로도 중소기업 및 소규모 사업자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