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시청자들 불만 1위 재미있는 프로그램 없다

윤동혁

news@chemie.or.kr | 2016-11-24 17:26:12

주문형 컨텐츠 시청 시간의 증가 추세 조사 나타나
전세계 11억 명 소비자 의견 담은 에릭슨 컨슈머랩 TV
한국 변화 주도 시장, 올해 3200만명 소비자 견해 담아
모바일 기기로 주 당 TV와 비디오 시청 시간 85% 증가

[화학신문 윤동혁 기자]일반 TV 편성에 비해 주문형(VOD) 서비스를 볼 때 컨텐츠 선택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만 주문형 서비스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릭슨은 최근 발행한 에릭슨 컨슈머랩 TV 그리고 미디어 보고서 2016(Ericsson ConsumerLab TV & Media Report 2016)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TV와 비디오 시청 기기가 모바일로 이동하는 큰 변화를 나타났다고 밝혔다.

모바일 기기에서의 비디오와 주문형 TV 시청이 지난 7년간 급증했지만 소비자들은 마음에 드는 컨텐츠를 찾지 못하는 불만감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속되는 모바일로의 이동 (Continued shift to mobile)은 한국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노트북을 통한 모바일 기기에서의 총 시청 시간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다.

변화의 속도는 조금 느려졌지만, 모바일 대 그 외 기기에서의 시청 비율은 2013년 30:70에서 현재는 40:60으로 변했고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2013년과 2016년 사이 모바일 기기에서의 주간 TV와 비디오 시청 비율은 28% 증가했으며 동 기간 그 외 기기에서의 시청 비율은 12% 하락했다.

소비자들의 모바일 시청은 무제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와 더불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소비자의 26%는 무제한 비디오 스트리밍이 포함된 모바일 데이터 요금제에 관심을 보였다.

인터넷에서 관련 컨텐츠를 찾아보기 위한 세컨드 스크린 사용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 소비자 중 65%는 매주 TV 스크린의 컨텐츠를 보완하기 위해 세컨드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에서 또 하나의 주목할 점은 볼 만할 컨텐츠를 찾을 수 없다는 소비자 불만이다.

한국 소비자들은 일반 TV 편성과 주문형(VOD) 서비스를 통해 보고 싶은 컨텐츠를 찾는데 각각 모두 25분 정도를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청 시간에 대한 비중은 달랐다. 일반 TV방송 시청자들은 시청 시간 중 20%를 컨텐츠를 찾는데 사용한 반면, 주문형 서비스 사용자들은 무려 35%를 썼다. 그럼에도 한국 소비자 중 40%는 TV 방송에서 볼만한 것을 찾을 수 없다고 응답했고, 주문형 서비스 이용자들의 경우 이 비율은 23%로 낮았다.

경기도 고양시 장항동에 사는 정모 40대 여성은 "홈쇼핑은 채널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주문형 프로그램을 보는데 한계가 있고 재미와 시간을 투자해서 볼만한 것도 너무나 제한적이며 가격대도 비싸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나타난 것처럼 소비자 중 36%는 주문형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찾는데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TV 방송의 경우 이 비율은 24%에 머물렀다.

이는 주문형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찾는 과정이 TV보다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기는 하지만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

캐세아 쉬(Cathaya Xu) 에릭슨 동북아시아지역 컨슈머랩 총괄은 "보고 싶은 컨텐츠를 찾는 것은 시청자들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며 "그런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할 경우, 컨텐츠를 찾기가 어려워지고 이는 소비자의 컨텐츠 권리에 대한 투자를 일부 낭비하는 셈이 된다."고 했다.

그는 "소비자들에게 컨텐츠를 추천할 때에는 컨텐츠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개별 소비자와 그들의 기분에 맞는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트리밍 하는 TV 시리즈, 영화와 기타 프로그램, 유튜브와 같은 짧은 비디오 클립을 포함한 주문형 컨텐츠의 총 시청 시간 비율은 2013년 이후 43% 급증했다.

주문형 서비스의 약진과 높은 만족도는 다양한 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국 소비자의 35%는 매주 같은 프로그램을 2편 이상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10% 이상은 매일 그렇게 한다고 응답했다.

소비자들이 주문형 서비스에 지출하는 비용은 2012년 이후 30% 이상 늘어났고, 이는 가구당 미디어 관련 평균 지출의 13% 이상을 차지한다.

응답자 중 36%는 매일 유튜브를 시청한다고 응답했다. 16-19세 응답자의 경우 이 비율은 50%를 넘었다.

제이넵 아마드(Zeynep Ahmad) 에릭슨 컨슈머랩 고문은 "우리 조사에 따르면 고품질 TV 방송과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는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특히 2000년대 이후 태어난 젊은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컨텐츠를 보기를  원하고 컨텐츠 공유는 물론 주문형 미디어에 대한 유연성 또한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소비자들은 더 몰입할 수 있는 경험을 갖기를 원하는 동시에 자신들이 좋아하는 컨텐츠에 원하는 방식으로 몰입할 수 있는 방법 찾기다.

[ⓒ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