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실패하면 2100년에 인구 절반 줄어

최인배 / 2016-04-15 00:05:46
KEI 저탄소 기후변화 적응사회 위한 사회 경제 변화 보고서
한국 온실가스 저감 실패 기후변화 비적응사회 추락 경고

[화학신문 최인배 기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소홀히 할 경우 2100년 우리나라 인구가 2000만 명으로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3월25일 발표한 저탄소 기후변화 적응사회를 위한 사회 경제 변화 시나리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온실가스 저감에 실패해 '고탄소 사회(기후변화 비적응사회)'가 되면 2100년 인구는 작년 인구의 절반 정도인 2053만 명으로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는 2013년부터 3년 간 이뤄진 것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개발한 공동 사회·경제 경로(SSP)라는 시나리오를 한국 상황에 적용한 것이다. 이 시나리오에는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수준에 따라 우리나라 인구, 경제, 토지 이용, 에너지 사용 등의 사회·경제적 지표들이 2100년까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탄소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가 급격히 진행되면 지구의 평균 온도가 오르면서 해수면이 상승해 국토 면적이 줄어든다. 생태계 변화나 홍수, 해일, 폭풍, 폭염, 한파, 전염병 등 재난 상황을 맞을 수 있다.

▲1991~2000 년간 서울지역 7-8월 평균 일최고기온과 사망자수 변화추이

IPCC는 2100년에 지구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3.7도 오르고 해수면은 63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런 환경 문제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면 경제 성장이 더뎌지고, 출산 장려를 위한 복지 예산도 줄기 때문에 인구가 감소한다는 분석이다. 또한 생산가능 인구가 줄어들면 다시 경제 발전이 가로막히는 악순환이 이어지게 된다.


지속적인 친환경 정책을 통해 저탄소 사회(기후변화 적응사회)를 지향할 경우 2100년 국내 인구는 3992만 명으로 추산되고 1인당 GDP도 1억 5000만 원으로 전망된다.

반면 친환경 에너지 분야의 기술 확산이 더디고 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고탄소 사회(기후변화 비적응사회)에서는 2100년 인구는 2052만 명, 1인당 GDP는 8900만 원으로 예측됐다.

저출산으로 인구 감소 자체는 불가피하지만 기후변화에 얼마나 적절히 대응하느냐에 따라 인구 감소 폭이 2000만 명 이상 차이 나는 것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경제 발전을 위해서라도 친환경 정책은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재해, 재난 발생 등 기상학적인 관점에서만 기후변화를 다룰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 문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기후변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미래 사회나 경제가 어떻게 변화할지 가정하는 장기 시나리오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이번 시나리오 개발은 사회·경제 부문에서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인배

최인배

화학신문은 최신 화학 산업 뉴스와 혁신 기술, 시장 동향을 제공하는 전문 매체입니다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