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토종식물 왜 보호해야 하는지 또 한번 입증

이수진 기자 / 2017-02-24 13:52:46
'엉겅퀴', '흰민들레' 알코올성 간 손상과 위염 완화 입증
건강식품 출시 앞둬, 산업화 확대로 농가 소득 향상 기대
GOT와 GPT 수치 각 69.0%, 19.6% 개선, 위염 44.7% 완화
농진청, 토종약초 기능성 소재화 연구 지속 산업 활성화 기여

[화학신문 이수진 기자]주당들에게 희소식이 날아왔다.

우리 약초 토종 식물중 술을 많이 마셔 간이 손상되거나, 위염을 고생한 분들에게 치료 목적으로 손색이 없는 엉겅퀴, 흰민들레의 약효가 다시 한번 확인됐다.


생활습관병인 알코올성 간질환과 위염 완화에 토종약초가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앞으로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엉겅퀴와 흰민들레 복합추출물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과 위 염증 개선에 효과적임을 동물실험으로 밝혀냈다고 23일 밝혔다.

지리산민들레 공동체 관계자는 "토종 약초 보호는 그 어떤 재산가치보다 매우 높고 우수하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보호해야 할 마땅한 의무"라며 "농약,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우리 고유 약초 식물을 보호하고 가꾸는 힘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이곳에서는 100% 토종 흰민들레만을 이용한 상품화를 완성해 국내외 보급을 활성화하고 있다.


예로부터 엉겅퀴와 흰민들레는 한약재 및 한방차, 장아찌 등 식품으로 사용해 왔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식품원재료로 등록돼 있을 만큼 부작용 없이 먹을 수 있는 소재다.


엉겅퀴는 간질환 치료제로 사용돼왔다. 그중 간 기능을 개선하는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인정받은 것은 서양엉겅퀴(밀크씨슬)이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토종 자원인 흰민들레는 일반적으로 간과 위장 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농촌진흥청 인삼특작이용팀은 최근 알코올성 질환 관련 진료비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식품원료를 대체하면서 알코올로 발생하는 간 손상과 위염을 동시에 완화할 수 있는 토종약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이번 실험을 실시했다.


동물실험은 정상군, 알코올성 간 손상 및 위염 대조군, 엉겅퀴 200mg/kg 투여군, 흰민들레 200mg/kg 투여군, 엉겅퀴 100mg/kg+흰민들레 100mg/kg 복합투여군으로 구분해 진행했다.


5g/kg의 에탄올에 녹인 약물시료를 실험동물에 12시간마다 1회씩 총 3회 경구 투여한 다음 엉겅퀴, 흰민들레 및 복합투여에 의한 알코올성 간 손상과 위염 개선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엉겅퀴와 흰민들레 복합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간 기능 지표 항목인 GOT와 GPT 수치가 각각 69.0%, 19.6% 개선됨과 동시에 위염이 44.7%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엉겅퀴 단독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GOT 62.0%, GPT 30.4%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흰민들레 단독투여군으로는 대조군에 비해 위염 54.8% 완화됐다고 밝혔다.


이는 엉겅퀴와 흰민들레 복합물이 단독투여 용량(200mg/kg)의 1/2 용량(100mg/kg)만으로도 우수한 간기능 개선 효과와 함께 위염 증상을 완화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또한 알코올에 의해 발생되는 간세포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간의 형태학적 변화에 있어서도 엉겅퀴와 흰민들레 복합투여군에서 간 손상 억제가 우수한 것으로 나왔다. 

이번 연구결과는 특허출원했으며 관련 기술을 엉겅퀴 재배 영농조합에 기술 이전했다. 

영농조합에서 엉겅퀴를 이용해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용 과립제로 건강식품을 개발해 4월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토종약초를 이용해 건강기능성 식의약 소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 엉겅퀴와 흰민들레의 산업화가 확대된다면 수입 의존 품목을 대체하고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물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이지원 인삼특작부장은 "앞으로 우리나라 토종약초에 대한 기능성 소재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로 국민건강 증진과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용어설명
수입 점유율, 식약처 기능식품 생산실적 자료에 따르면 2011년 138억원에서 2015년 705억원으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주로 간에 존재하며 간세포가 손상 받으면 증가 
GPT(glutamic pyrubic transaminase) : 간, 심장, 신장, 뇌, 근육 등에 존재하며 이들 세포가 손상 받으면 증가
엉겅퀴 및 흰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및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출원번호 : 10-2016-0179611)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수진 기자

이수진 기자

화학신문은 최신 화학 산업 뉴스와 혁신 기술, 시장 동향을 제공하는 전문 매체입니다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