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법 개방 6배·다운로드 7배 '껑충'

편집국 / 2014-10-31 00:00:00
안행부, 1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데이터산업 성장 방안 모색 지난해 10월 공공데이터법이 시행된 이후 데이터 개방과 내려받기(다운로드)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정부는 31일 공공데이터법 시행 1년 만에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기준으로 개방 건수는 약 6배, 다운로드는 약 7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안행부 집계 결과 개방 건수는 지난해 10월 1963개에서 올해 9월 1만1255개로, 다운로드는 같은 기간 1만1825건에서 7만9651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정부의 공공데이터가 생활 곳곳에 활용돼 새로운 기업·서비스를 창출하고 국민생활을 편리하게 바꾸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한 사례도 42개에서 333개로 8배 가량 크게 증가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형태로 공공데이터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게 됐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공개 데이터는 대기오염 정보다. 한국환경공단은 올해부터 미세먼지, 오존농도 등 '대기오염 정보'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 그 결과 올해 새로 등재된 실시간 데이터 중 신청 건수 1위를 기록했다. 국내 관광산업을 이용한 청년 창업도 성행하고 있다. 일부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로 4억원의 투자 유치를 받기도 했다. 평범한 여대생이던 텐핑거스 신동해 대표는 한국관광공사가 개방한 '국내관광정보'를 활용해 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서울데이트팝'을 개발해 여성 CEO가 됐다.

택배점유율 2위인 우정사업본부의 우체국 '택배위치정보'는 국내 모든 택배의 이동경로와 현재위치를 알려주는 '스마트택배(㈜스윗트래커)'로 재탄생했다. 이 프로그램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택배사까지 만족시킨 사례다. 소비자는 내 택배가 어디 있는지 쉽게 알 수 있고 택배사는 콜센터 문의 중 70%를 차지하는 단순문의 전화가 줄어들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설립 2년 만에 누적 다운로드 수 400만 건, 월사용자 120만 명을 돌파했다. 한편 정부는 국민, 기업의 고충을 해소하고 민간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공공기관이 제공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해결해 주는 분쟁조정제도와 현장대응반(PSC)이 마련됐다. 아이디어는 있지만 환경이 열악한 기업을 위해 유망기업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79개 기업에 대해 민·관 합동으로 인프라, 홍보,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또한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4일 처음으로 공공데이터 표준을 제정해 전국의 주차장, 공원정보를 표준화 했다.지난 22일에는 공모를 통해 개발자, 기업인, 대학생 등 100명으로 구성된 '열려라 데이터' 활동단원을 구성하기도 했다. 이들은 앞으로 국민이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선정하게 된다.

또한 연말까지 10개, 2017년까지 100개의 데이터 표준을 마련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오픈포맷 비율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 민간과 중복논란이 있는 공공서비스도 단계적으로 정비해 민간 활동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박경국 안행부 1차관은 "이제는 정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아닌 민간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집중 개방할 시기"라며 "데이터를 개방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서비스, 창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안행부는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공데이터법 시행 1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국회 안전행정위원장인 진영 의원과 김을동 의원, 전문가, 국민 등 400여명이 참석해 지난 1년간 공공데이터 개방성과를 점검하고 데이터산업 성장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편집국

편집국

화학신문은 최신 화학 산업 뉴스와 혁신 기술, 시장 동향을 제공하는 전문 매체입니다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