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운전자들 전기자동차 구매 시기상조?

최인배 / 2016-12-11 16:20:17
더딘 충전시간 못기다려, 충전인프라 아직 걸음마
내년 전기차 1만4000여대 보급, 소비자들 부정적
구매시 보조금 1400만원 지원, 배터리 내구성 미흡

▲공중전화부스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화학신문 최인배 기자]전기자동차 성능은 기존 고성능을 자랑하는 휘발유 연료 자동차에 반 정도다.

이를 감안해, 정부는 2017년도에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총 1만4000대가 보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11일 환경부는 국회에서 내년 전기차 보급 예산이 최종 확정되면서 당초 계획대로 전기차 1만4000대 구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에 판매된 전기차는 4622대다. 2015년 기준으로 64% 늘었다.


2017년에 디젤이나, 휘발유 연료 자동차를 팔고 전기차를 살 경우 보조받을 수 있는 금액은 한대당 1400만원이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에 재정운영이나, 전기차 보급활성화에 적극적인 지역은 약 500만원을 더 지원 받을 수 있다.

▲충전인프라 참여 기업 현황

자동차 취득시 내야 하는 개별소비세 최대 200만원, 교육세 최대 60만원, 취득세 최대 140만원 등 많게는 400만원의 세금 혜택도 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확산의 걸림돌이였던 충전소가 턱없이 부족한다는 점에 급속충전기 설치 물량은 올해보다 60% 끌어올려 530기를 더 설치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내년부터는 수도권, 대도시 등 충전소 이용률이 높은 곳에 충전기를 2기 이상씩 설치한다.


특히 기다림을 줄이기 위해 5대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집중충전소가 늘어난다. 특히 그동안 불만으로 여겨진 충전속도도 최대 2배 속도로 빨라진다.

▲해외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현황

내년에 출시되는 국내외 전기자동차 일부 차종에는 주행거리가 긴 전기차량도 30분 내외로 충전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형섭 환경부 청정대기기획TF 팀장은 "내년이면 충전 인프라 등 전기차 보급여건이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의 발표에 달리 일반 시민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냉소적이다.

일부 시민들은 "전기차 지원해서 자동차업체 좋은일 시키지말고 어려운 서민들 지원이나 똑바로해라"는 주장에서부터 "중국은 50만대 판매한다는데, 전기차 산업은 중국을 영원히 못따라 잡을 듯 중국의 정책을 찬양하는 발언도 나왔다.

▲전기차 대여 비교표

특히 "전기차를 지금 사는 사람들은 정부의 실험체"라는 매우 부정적인 입장과 함께 "전기차라고 해놓고 지원금 받아도 중형급 이상 금액, 차라리 그돈만큼 일반차 휘발유 넣고 타고 다녀도 5년은 탈수있다."면서 "인프라도 없고 지금도 신규아파트들 대부분 전기충전부스도 없는데 결국 대기업 배불리기 하며 국민을 시험대상으로 삼는 행태는 증거"라고 꼬집었다.


또 "그 돈을 기존의 가스, 휘발유, 디젤차량 엔진의 연비와 열효율 향상, 배기가스 최소화에 사용하면 훨씬 좋을텐데는 말과 함께 추워지면서 완풍하고 160km 정도만 달릴 수 있다는 전기차 주행성능에 회의적인 반응도 보였다.

▲전기차 구매 렌탈과 직접 구매 비교표

현재 전기차를 타고 있다는 그는 "엄청 후회된다. 전기차에 베터리수명이 현재기술로 3년 정도박에 되지 않기 때문에 베터리 교체비용이 무시할 수 없다."며 "30분 동안 충전하면서 기다리는 우리 급한 성격의 국민성은 전기차때문에 홧병이 생길 것"이라고 극단적인 주장도 쏟아졌다.


국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사 관계자는 "시장 커지면 전기차 단가 떨어질꺼라고 생각하지만, 이미 전기차값의 절반은 베터리가격"이라고, "전기차 베터리업체 입장은 자칭 치킨게임 돌입했다면서 우리 회사 경우 가격낮추려 노력하지만 정부의 압박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푸념으로 늘어놨다. 

한편 11월 환경부는 롯데렌탈(주), 현대캐피탈(주), AJ렌터카(주), SK네트웍스(주) 등 자동차 대여업체 4곳과 함께 전기차 보급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전국 급속총전기 설치현황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인배

최인배

화학신문은 최신 화학 산업 뉴스와 혁신 기술, 시장 동향을 제공하는 전문 매체입니다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