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생태계 가치보다 이익 창출에 눈먼 댓가 '톡톡'
충남연구원,'가로림만 국가해양공원 조성 세미나'
[화학신문 한영익 기자]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을 놓고 한때 찬반 논쟁은 뜨거웠다.
찬성측 주장은 "기후협약 이행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이며 공해물질 배출없는 친환경에너지"라고 스스로 발목을 잡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한 "연간 500만명 관광객 유치 효과가 있고, 일자리 효과, 지역경제에 이바지 한다"고 밝혔다.
특히 "국가적 에너지 위기이며 신재생에너지 생산은 의무다. 자연산 잡는 어업에서 양식 등 기르는 어업으로 전화하면 소득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주장으로 지역민들의 눈과 귀를 멀게 하고 갈등을 부추겼다.
그러나 사실은 정반대였다. 철저하게 계산된 지역민들을 설득하기 위한 엉터리 거버넌스를 만들려고 했다.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의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 않는 가운데, 해양생태적 가치가 우수한 갯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가로림만은 세계 5대 갯벌로 다양한 생태 자원을 가지고 있다. 충남도민들은 새시대에 걸맞게 해양생태계의 보고인 갯벌을 보호하지 않으면, 바다는 더 이상 기능을 잃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생산가치조차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물론 가로림만 조력발전소를 건설하겠다고 산업통상자원부의 강행으로 환경부는 침묵했고, 지역민들은 찬성과 반대로 갈라서 또 다른 사회적 갈등으로 내몰았다.
문재인 정부의 대전공약중 하나는 가로림만을 국가해양정원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 공약은 충남 서해안 해양신산업 육성 공약 중 하나인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의 바람직한 조성이 바람직하는 의견이 또 다시 나왔다.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은 가로림만 관리와 생태가치 확산, 해양 관광·문화 창출을 위한 사업으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2500억원을 투입해 국제갯벌보호센터와 점박이물범 보호센터, 해양생태자원관, 갯벌정원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이후 갯벌변화는 막대한 해양생태계 변화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해양학자들의 공통된 입장 이다. 그동안 한전 발전자회사 서부발전은 별도의 자회사를 설립 해 조력발전 건설에 수백억원을 쏟아부었다. |
세미나에서 순천시 최덕림 전 국장은 “순천만 습지 복원을 위해 민관학 협력체계를 구성해 다양한 이견을 좁히는 과정을 거쳤고, 주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기 위한 갈대 제거사업 및 특산품관 운영 등을 실시해, 철새들의 쉼터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유효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렇듯 국가해양정원 조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가로림만을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국가해양정원을 조성한다는 관점을 가져야 지속 가능한 국가해양정원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순천만 보전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던 순천만국가정원의 총 자산가치는 1조97억원으로 ▲조경산업 ▲MICE산업 ▲농산물 유통 ▲서비스산업 등 다양한 환경일자리(Green job)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연구원 조봉운 연구위원은 "국가해양정원 조성방안으로 제시된 사업은 다랑이논과 같은 형태의 제방을 만들어 단절된 농경지와 양식장을 해양생태원으로 조성하는 방법,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습지를 조성하는 방법, 지형적 여건을 고려한 해상 인공식물섬을 조성하는 방법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행정당국도 다르지 않는 입장을 내놨다.
충청남도 박중호 해양정책과 주무관은 "국가해양정원은 가로림만의 해양환경을 지키고 회복시키면서 지역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발굴하게 된 과제"라며 "앞으로 충남도는 해양수산부, 서산시와 태안군 및 지역주민과 함께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