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1932개 주유소 대상, 소비자 접근성 제고 알뜰주유소 확대
수도권 알뜰주유소 가격 인하 효과 가장 뚜렷 운전자 가장선호
[화학신문 윤동혁 기자]2016년 휘발유와 경유의 판매가격이 가장 저렴한 주유소는 셀프주유소이면서 전자상거래를 활용하고 있는 알뜰주유소로 나타났다.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전국 11932개 주유소를 4개 유형, 16개 그룹으로 분류해 주유소 유형별 및 그룹별 2016년 석유제품 평균 판매가격을 조사했다.
이번 비교분석은 알뜰주유소,비 알뜰주유소, 셀프주유소/비 셀프, 석유전자상거래 활용/미활용, 지방/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재로 나눴다.
2016년 석유제품 평균 판매가격(휘발유 1402.6원/ℓ, 경유 1182.5원/ℓ) 대비 주유소 유형별 가격 차이를 분석한 결과, 휘발유, 경유 모두 알뜰주유소가 전국 평균가격보다 31.8원/ℓ저렴 가격 차이가 가장 컸다.
셀프주유소(휘발유 △26.1원/ℓ, 경유 △25.8원/ℓ), 전자상거래 활용 주유소(휘발유 △22.5원/ℓ, 경유 △21.9원/ℓ), 지방 소재 주유소(휘발유 △8.2원/ℓ, 경유 △7.9원/ℓ) 순으로 평균 판매가격 대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유형별로는 알뜰주유소(비알뜰주유소보다 휘발유 △35.1원/ℓ, 경유 △35.1원/ℓ), 셀프주유소(비셀프주유소보다 휘발유 △32.4원/ℓ, 경유 △32.0원/ℓ), 지방 소재 주유소(수도권 소재 주유소보다 휘발유 △29.7원/ℓ, 경유 △28.7원/ℓ), 전자상거래 활용 주유소(전자상거래 미활용 주유소보다 휘발유 △25.1원/ℓ, 경유 △25.9원/ℓ) 순으로 가격인하 효과가 큰 것으로 나왔다.
이는 주유소의 유형(알뜰/비알뜰 등)에 따라 석유제품을 저렴하게 공급받는 주유소가 가격인하 여력이 높고 인건비·임차료 등 고정비성 판매관리비 부담이 적은 주유소가 판매가격이 낮음을 보여준다.
공동구매 후 정유사로부터 석유제품을 공급받는 알뜰주유소,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거래하는 주유소, 정유사·수입사 등 다양한 공급선으로부터 공급받는 주유소 등이다.
또 인건비 부담이 적은 셀프주유소, 임차료, 금융비 등이 적은 지방 소재 주유소 등이 해당된다.
4개 유형을 조합한 16개 주유소그룹 중 판매가격이 가장 저렴한 그룹은 셀프주유소이면서 전자상거래를 활용하는 지방 소재 알뜰주유소(비수도권 ①그룹)로서, 전국 주유소 평균가격 대비 휘발유는 52.0원/ℓ, 경유는 52.3원/ℓ저렴하고 가장 비싼 그룹(비알뜰, 비셀프, 전자상거래 未활용·수도권 소재, 수도권 ⑧그룹) 대비 ℓ당 93~96원(휘발유 92.8원/ℓ, 경유 95.5원/ℓ)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재지에 따른 유형별 가격 인하효과를 보면 비수도권는 셀프주유소의 가격 인하 효과가 크고(비수도권 ⑤그룹>⑥그룹>⑦그룹), 수도권에서 알뜰주유소의 가격 인하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수도권 ④그룹>⑤그룹>⑥그룹>⑦그룹) 나타났다.
이번 주유소 유형별 판매가격 분석 결과 알뜰주유소, 전자상거래 등 석유유통정책이 석유시장의 경쟁촉진과 가격 인하에 기여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확인됐다는 평가다.
이어 소비자는 석유가격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서 제공하는 주유소 정보와 가격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합리적으로 주유소를 선택해 구매할 필요가 있으며, 주유소는 판매가격 인하를 위해 전자상거래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오피넷(opinet.co.kr)는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석유제품 가격정보 제공 서비스로 지역별/경로별 싼 주유소 찾기, 불법행위 업소, 국제/국내 유가동향 등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판매가격이 높은 주유소 그룹들은 모두 비 알뜰, 비 셀프·전자상거래 불참 주유소들로 이들이 60.3%의 높은 비중을 차지해 가격이 저렴한 주유소들을 소비자가 쉽게 찾아가 이용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는 소비자들이 석유의 가격하락 체감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자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알뜰주유소와 전자상거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주유소의 셀프주유소 전환 등 지원 내용을 다각화 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경쟁 촉진을 통한 석유가격 안정'을 위해서 앞으로 알뜰주유소의 가격경쟁력 강화, 전자상거래 활성화, 석유제품 가격공개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